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승강기 원리 이해38

엘리베이터 - DUTY TABLE (설계 기준서) 1. DUTY TABLE의 정의 엘리베이터 설계/개발에서 DUTY TABLE이라고 부르는 표가 있다. DUTY TABLE은 듀티 테이블 또는 설계기준서라고도 한다. 시스템의 최적설계를 위해서 일정한 절차를 통해 시스템의 각 부품을 설계(계산/선정)하고 이를 정리하여 표준화한 표를 말하며 이 표에 따라 각종 표준 기술자료가 작성되며 L/O(Layout, 배치,계획)자료 및 영업자료등에 활용된다. 여기에서는 DUTY TABLE을 작성할 때의 일반적인 순서도와 DUTY TABLE의 구성항목등에 대해서 살펴본다. 각 제조회사마다 시스템의 특성이 달라 여기에서 소개되는 순서도나 구성항목은 반드시 일치하지는 않는다는 점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 DUTY TABLE은 시스템(모델)별로 권상기, 로프등 시스템의 기계적 .. 2024. 2. 7.
엘리베이터 - 카의 유효면적, 정격하중 및 정원 여기에서는 엘리베이터 카의 유효면적과 정격하중 및 정원과의 관계를 규정한 [별표 22] 엘리베이터 안전기준 8.2에 대해서 중요한 사항을 살펴보고자 한다. (8.2의 전체 안전기준은 주1 참조) 8.2.1 일반사항 카의 과부하를 방지하기 위해 카의 유효 면적은 제한되어야 한다. 정격하중과 최대 카의 유효면적 사이의 관계는 별도 표(안전기준 참조)에 나타낸다. 카의 별도 공간 및 기타 확장부분은 분리용 문에 의해 막혀 있고 높이가 1m 이하 일지라도 이 공간은 최대 카의 유효 면적 계산에 고려될 경우에만 인정된다(이러한 이유로 운구형(트렁크타입)이 사라진 이유이기도 하다). 문이 닫혀 있을 때 출입구의 이용가능한 면적 또한 고려되어야 한다(깊이가 100mm 초과시 고려). 또한 카의 과부하가 감지되어야 한.. 2024. 2. 7.
엘리베이터 - 일량, 동력등 그리고 단위 엘리베이터 안전기준에서 자주 등장하는 기계공학 용어와 수식을 정리해 보았다. 기초적이기는 하지만 시간이 많이 흐르면서 기초적인것 조차도 기억속에서 사라질 때가 있고 이를 다시 상기시키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일단은 엘리베이터 안전기준상에서의 주요 기계공학용어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별표 22] 엘리베이터 안전기준 7.6.2.2.1 자동 동력 작동식 문 가) 승강장문 또는 카문과 문에 견고하게 연결된 기계적인 부품들의 운동에너지는 평균 닫힘 속도로 계산되거나 측정했을 때 10 J 이하이어야 한다. ; 일량은 힘에 (힘의방향의) 거리를 곱한값이다. 일량의 단위와 에너지의 단위는 같다. 에너지는 일을 할 수 있는 능력이다. [별표 22] 엘리베이터 안전기준 9.6 보상 수단 9.6.1 적절한 .. 2024. 2. 6.
Elevator - only in building with 6 or more floors? It occurred to me while looking at the elevator installation standards in the Korean Building Code (KBC), so I'll summarize it briefly. Article 64 of the KBC sets forth the installation standards for elevators as follows. 1) To construct a building with more than 6 floors and a total floor area of 2,000 square meters or more, an elevator must be installed. However, buildings with six floors and .. 2024. 2. 4.
엘리베이터 - 주행안내레일 (Guide Rails)의 규격 엘리베이터의 주행안내레일(Guide Rails) (과거에는 가이드레일이라고 하였는데 지금은 주행안내레일이 법적명칭이다. 비슷비슷한 고유명칭과도 같은 부품명을 이리저리 바꾸고 있어서 혼란을 야기한다)의 표준 규격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한다. 엘리베이터 부품중 레일 만큼 표준화가 용이한 부품이 많지 않다. 로프나 레일이 대표적이라고 할 수 있는데 아쉽게도 레일도 표준화에 상당한 문제가 있다는 것이다. 우선, 국내에서 생산하고 있는 레일과 유럽에서 사용하고 있는 레일이 같지 않다는 것에 문제가 있다. 유럽에서 사용하고 있는 레일 규격을 국내 KS산업규격으로 가져와서 사용하고 있다.  주행안내레일은 추락방지안전장치를 사용하는 카측용 레일은 주로 T자형의 것을 일반적으로 사용하고 균형추측등 비상시 제동의 필요가 없.. 2024. 1. 31.
엘리베이터 - 교통량 분석 (계산) 엘리베이터는 오피스빌딩이나 병원등 많은 사람들이 하루종일 오고가는 고층건물에서 필수적인 층간 교통수단이다. 오피스빌딩의 경우 출근시간, 점심시간, 퇴근시간에는 다수의 사람들이 한꺼번에 엘리베이터에 몰리면서 큰 교통체증, 혼란이 발생한다. 엘리베이터를 타기 위해서 수분간을 기다리는 경우도 있지만 심지어는 수십분간을 기다려야 엘리베이터를 탈 수 있는 건물도 있다. 이 경우 건물의 입주자에 비해 엘리베이터의 수송능력이 부족하여 발생하는 현상이다. 건물의 엘리베이터 설비계획시 충분한 교통량 분석을 하지 않은 결과이다. 너무 느린 포항시청 승강기 “속 터집니다” - 경북매일 (kbmaeil.com) 엘리베이터는 한 번 설치를 하면 건물 공간의 제약 때문에 쉽게 변경할 수 없는 설비이기 때문에 초기에 설비계획을 할.. 2024. 1. 16.
엘리베이터 - 레일 클립 (Rail Clip) 1. 레일 클립의 정의 엘리베이터에 사용되는 주행안내레일을 레일 브라켓 또는 금속 빔에 클램프 방식으로 고정하는데 이 부품을 레일 클립(Rail Clip)이라고 한다. 주행안내레일은 통상 5m의 길이로 되어 있다. 이는 제작, 반입과 설치등의 편의성을 고려하여 결정된 것이다. 2.5m, 1.5m로 제작하여 승강로 최상부나 최하부에 소요되는 작은 길이의 레일에 대응하기도 한다. 레일과 레일사이는 피쉬플레이트(Fishplate)라는 판으로 연결되고 레일은 적정한 간격 (통상 2~2.5m)의 레일브라켓을 통해 승강로 벽에 단단히 고정된다. 레일브라켓과 레일을 연결하는 부품이 레일 클립(Rail Clip)이다. 레일 클립은 레일 클립 볼트를 통해 레일 브라켓에 고정된다. 가끔씩은 레일에서 전달되는 진동을 줄이기.. 2024. 1. 11.
엘리베이터 - 손가락끼임 방지수단 손가락끼임 방지수단(장치가 될 수도 있고 구조가 될 수도 있다)은 어린이의 손이 문과문 또는 문과 문틀사이의 틈새에 끼이거나 말려 들어가는 위험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엘리베이터 안전기준에서는 통상의 경우 문과 문, 문과 문틀 문과 문턱과의 틈새를 다음과 같이 규정하고 있다. 구분 기준 요약 비고 7 승강장문 및 카문 7.1.4 승강장문 및 카문이 닫혀 있을 때, 문짝 간 틈새나 문짝과 문틀(측면) 또는 문턱 사이의 틈새는 6 ㎜ 이하이어야 하며, 관련 부품이 마모된 경우에는 10 ㎜까지 허용될 수 있다. 유리로 만든 문은 제외한다.[7.6.2.2.1자)3) 참조] 수직 개폐식 승강장문 및 카문의 경우에는 상기 틈새를 10 ㎜까지 허용될 수 있으며, 관련부품이 마모된 경우에는 14 ㎜까지 허용될 수 있.. 2023. 12. 26.
엘리베이터 - 문닫힘안전장치(멀티빔) 엘리베이터의 전기적 안전장치중의 하나인 문닫힘안전장치에 대한 내용(주1)이다. 이용자들과 가장 많이 접촉하는 안전장치이다. 사실 "문닫힘안전장치"라는 용어는 공식적인 용어라기 보다는 [별표22] 엘리베이터 안전기준에 설명없이 갑자기 등장한 용어이다. 그래서 이를 "문끼임방지기"라고 부르자고 하는 의견도 있다(주1, 끼임방지보다는 충돌방지라는 표현이 더 좋아 보인다). EN81-20에서는 a protective device라는 일반적인 용어를 사용하고 있다. [별표22] 엘리베이터 안전기준 EN81-20:2014 7.6.2.2.1 나) 문이 닫히는 중에 사람이 출입구를 통과하는 경우 자동으로 문이 열리는 장치가 있어야 한다. " 보호장치는 문이 닫히는 중에 사람이 출입구를 통과하는 경우 자동으로 문이 열리.. 2023. 12. 17.
728x90
반응형